웹 스토리지는 브라우져 안에 있는 스토리지라고 보면 된다.
HTML5에서 브라우져의 내부 스토리지를 사용할 수 잇또록 제공해주는 기능으로 웹에있는 스토리지가 아니라 브라우져 로컬에 있는 스토리지라고 알고 있으면 좋다. 방식은 두가지가 있다.
- LOCAL STORAGE: 로컬에 origin 별로 지속되는 스토리지
- Session Storage : 현재 세션동안만 유지되는 스토리지
이 웹 스토리지 기능은 쿠키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발됨.
- 4KB의 데이터 저장 제한
- 쿠키는 매 HTTP 요청에 포함되어 있어 웹이 느려지게 하는 원인이 될 수 있음
- 같은 쿠키는 도메인 내의 모든 페이지에 같이 전달 됨
- HTTP 요청에 암호화 되지 않고 보내기 때문에 보안에 취약함함
- 쿠키는 사용자의 로컬에 텍스트로 저장 되어있어 쉽게 접근, 내용 확인이 가능함
이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용량을 확장하고, 서버로는 전달이 되지 않고 브라우져 로컬에만 저장되며, 보안도 보장할 수 있도록 새로운 표준을 정의한 것이 바로 웹스토리지이다. 이미 대부분의 브라우져는 이러한 스토리지를 지원해주고 있으므로 아직 쿠키를 사용하고 있는 사이트가 있다면 이제는 기술 이전을 해야 할 시기가 왔다고 본다.
'혼자 노력하면서 기록하는 것들 > FRONT-END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 끄적끄적 (1) | 2021.03.12 |
---|---|
04. DNS의 동작 원리와 이름 (0) | 2021.01.20 |
03. HTTP란 무엇인가 (쿠키,세션,캐시..) (2) | 2021.01.19 |
02. 인터넷은 어떻게 작동할까요? (2) | 2021.01.16 |
01. 프론트앤드 개발자 로드맵 (2) | 2021.01.16 |